건강
우리 몸의 주요 건강 수치 20가지
박카스1
2025. 4. 30. 22:52
반응형
반응형
🩺 건강을 지키는 힘, 우리 몸의 숫자들
― 환자가 반드시 알아야 할 20가지 건강 기준 수치와 그 의미 ―
"숫자는 거짓말을 하지 않습니다. 특히, 우리 몸에서 나오는 숫자들은 생명을 살리는 신호입니다."
환자분들께서 병원에 오시면 가장 먼저 마주하는 것이 피검사, 혈압 측정, 체중계입니다. 이 모든 것이 숫자입니다. 그런데 그 숫자들이 왜 중요한지, 어디까지가 정상이고 언제 위험해지는지 아는 사람은 많지 않습니다.
오늘은 전문의 입장에서 환자분들께 꼭 알려드리고 싶은 우리 몸의 20가지 핵심 건강 수치와 허용 범위를 쉽게 설명드리겠습니다.
✅ 혈압 · 혈당 · 심장 관련 수치
1. 혈압 (Blood Pressure)
- 정상 수치: 120/80 mmHg 이하
- 주의 단계: 130/85~139/89 mmHg
- 고혈압 기준: ≥ 140/90 mmHg
- 주의사항: 고혈압은 뇌졸중, 심부전, 신장병의 주요 원인입니다. 수축기와 이완기 모두 중요하며, 꾸준한 약 복용과 생활 습관 교정이 필요합니다.
2.
공복 혈당
(Fasting Blood Sugar)
- 정상 수치: 70~99 mg/dL
- 경계 수치: 100~125 mg/dL → 당뇨 전단계
- 당뇨 진단 기준: ≥ 126 mg/dL
- 주의사항: 공복 혈당이 높다고 해서 바로 당뇨는 아니지만, 생활습관 개선이 반드시 필요합니다.
3. 당화혈색소 (HbA1c)
- 정상: < 5.7%
- 경계: 5.7~6.4%
- 당뇨 기준: ≥ 6.5%
- 주의사항: 최근 3개월간 평균 혈당을 반영합니다. 당뇨 조절의 핵심 지표입니다.
4. 심박수 (안정 시, Resting Heart Rate)
- 정상: 60~100 bpm
- 운동선수 등 건강한 경우: 50도 가능
- 주의: 100 이상 = 빈맥 / 50 이하 = 서맥
- 주의사항: 부정맥, 심근질환, 갑상선 기능 이상 가능성이 있습니다.
5. 산소포화도 (SpO₂)
- 정상: 95~100%
- 경계: 90~94%
- 위험: < 90% → 저산소증
- 주의사항: 폐렴, COPD, 수면무호흡증이 의심될 수 있으며 응급 산소공급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 혈액 성분 · 지방 · 간 · 신장 지표
6. 총 콜레스테롤
- 정상: < 200 mg/dL
- 경계: 200~239 mg/dL
- 높음: ≥ 240 mg/dL
- 주의사항: 고지혈증은 동맥경화를 일으켜 심근경색, 뇌졸중 위험을 증가시킵니다.
7. LDL (저밀도 지단백, 나쁜 콜레스테롤)
- 정상: < 100 mg/dL
- 주의: ≥ 160 mg/dL
- 주의사항: 가장 심각한 심혈관 질환 유발 인자 중 하나입니다.
8. HDL (고밀도 지단백, 좋은 콜레스테롤)
- 정상: ≥ 60 mg/dL
- 낮음: 남 < 40 / 여 < 50 mg/dL
- 주의사항: HDL이 낮으면 동맥경화의 위험이 증가합니다.
9. 중성지방 (Triglycerides)
- 정상: < 150 mg/dL
- 높음: ≥ 200 mg/dL
- 주의사항: 지방간, 췌장염 가능성. 당뇨와 동반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10. AST (GOT) / ALT (GPT)
- 정상: 10~40 IU/L
- 주의: > 40 IU/L
- 주의사항: 간염, 지방간, 약물성 간 손상 가능성 있음. 지속적으로 높다면 정밀 검사 필요.
✅ 신장 기능 · 전해질 · 비타민 지표
11. 크레아티닌 (Creatinine)
1.
고밀도 지단백
- 남성: 0.7 ~ 1.3 mg/dL
- 여성: 0.6 ~ 1.1 mg/dL
이 수치는 신장의 여과 기능이 정상 범위 내에서 잘 작동하고 있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그러나 수치는 나이, 성별, 근육량, 운동량 등에 따라 개인차가 있을 수 있습니다.
2. 크레아티닌 수치 상승 시 주의사항
크레아티닌 수치가 정상 범위를 넘어설 경우, 이는 신장 기능 저하를 의미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크레아티닌 수치가 높을수록 신장 기능이 손상되었을 가능성이 큽니다.
- 경고 수치:
- 1.5~2.0 mg/dL: 신장 기능에 경미한 이상이 있을 수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추가 검사를 고려해야 합니다.
- 2.0 mg/dL 이상: 신장 기능이 상당히 저하되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치료 및 정밀 검사가 필요합니다.
3. 크레아티닌 수치가 높을 때의 원인
크레아티닌 수치 상승의 원인은 다양합니다. 주요 원인으로는:
- 급성 신부전: 급성으로 신장 기능이 갑자기 저하된 경우
- 만성 신장질환 (CKD): 장기적으로 신장이 손상되어 기능이 떨어진 경우
- 탈수: 수분 부족으로 신장이 제대로 기능하지 못할 때
- 고혈압, 당뇨병: 이 두 가지 질환은 신장에 부담을 주어 크레아티닌 수치를 높일 수 있습니다.
- 약물: 일부 약물, 특히 신장에 부담을 주는 약물 (예: 항생제, 진통제 등)이 크레아티닌 수치를 높일 수 있습니다.
4. 크레아티닌 수치를 관리하는 방법
- 수분 섭취: 충분한 수분을 섭취하면 신장이 원활하게 기능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 식이 관리: 고단백 식품을 과도하게 섭취하면 크레아티닌 수치가 증가할 수 있으므로 적당한 단백질 섭취가 중요합니다.
- 혈압 및 당뇨 관리: 고혈압과 당뇨병을 잘 관리하면 신장에 미치는 부담을 줄일 수 있습니다.
- 정기 검진: 특히 신장 질환의 위험이 있는 사람은 정기적인 혈액검사와 함께 **eGFR (추정 사구체 여과율)**을 측정해 신장 기능을 모니터링해야 합니다.
5. 크레아티닌과 eGFR (추정 사구체 여과율)
크레아티닌 수치와 함께 중요한 지표인 eGFR은 신장의 여과 능력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이 값이 60 mL/min 이하이면 신장 기능이 저하된 것으로 간주됩니다.
12. 사구체 여과율 (eGFR)
- 정상: ≥ 90 mL/min/1.73㎡
- 신부전 위험: < 60
- 주의사항: 나이가 들어도 낮아지면 병적일 수 있습니다.
13. 혈중 나트륨 (Na⁺)
- 정상: 135~145 mEq/L
- 저나트륨: < 130 / 고나트륨: > 150
- 주의사항: 혼수, 경련, 의식 저하 가능. 수분 조절 필요.
14. 혈중 칼륨 (K⁺)
- 정상: 3.5~5.0 mEq/L
- 위험: < 3.0 또는 > 5.5
- 주의사항: 심장 부정맥, 근육마비 발생 가능성.
15. 칼슘 (Ca²⁺)
- 정상: 8.5~10.5 mg/dL
- 주의: < 8.0 또는 > 11.0
- 주의사항: 골다공증, 갑상선 기능 이상, 신경·근육 흥분성 변화 유발 가능.
16. 비타민 D (25(OH)D)
- 정상: ≥ 30 ng/mL
- 결핍: < 20 ng/mL
- 주의사항: 면역 기능 저하, 골다공증, 근육약화의 주요 원인.
✅ 체중 · 체성분 · 체온
17. 체질량지수 (BMI)
- 정상: 18.5~22.9
- 과체중: 23.0~24.9
- 비만: ≥ 25.0
- 주의사항: BMI가 높을수록 당뇨, 고혈압, 관절질환 발생 위험 증가.
18. 허리둘레 (복부비만 기준)
- 정상: 남 < 90 cm / 여 < 85 cm
- 비만 기준: 이상 시 대사증후군 위험
- 주의사항: 내장지방 증가, 고혈압 및 심혈관 질환 위험 증가
19. 체온 (Body Temperature)
- 정상: 36.5~37.5°C
- 주의: > 38.0°C = 발열
- 주의사항: 감염, 염증, 면역 질환 의심 필요
🧪 보너스:
20. 백혈구 수치 (WBC)
- 정상: 4,000~10,000 /μL
- 높음: > 11,000 → 감염 또는 백혈병 의심
- 낮음: < 3,000 → 면역 저하
- 주의사항: 수치 이상 시 CBC 재검사 필수
🔚 결론: 수치는 생명의 신호입니다
- 한 번의 검사보다, 꾸준한 추적이 더 중요합니다.
- 여러 수치가 동시에 비정상이라면 병의 진행 신호일 수 있습니다.
- 병원에 갈 타이밍을 고민하지 말고, 이 수치들 중 2개 이상이 경계에 있다면 바로 전문가 상담을 받으세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