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역사14

제야의종 제야의 종 크리스마스의 연후가 지나고 얼마 남지 않은 2018년, 제야 종소리는 멀리 울려 퍼질 시간이 얼마 남지 않았네요..... 올 한해 목표한 일들도, 하고 싶었던 일들도 아직 이루지 못하셨다면 제야의 종소리를 들으며 2019년 새해의 소원을 빌어 보세요........ 1년이란 시간은 저에게도 또한 여러분들에게도 소중한 시간입니다. 누구나 피할수 없는 시간이 똑딱똑딱 다가 오고 있습니다. 제야의 종소리를 들으며 한해를 돌이켜 보며 내년에는 어떻게 살아가야 할지 의지를 다시 한번 다져봅니다. 제(際,때제)는 섣달그믐을 의미하고 야(夜,밤야)는 밤을 뜻하는 말로 섣달그믐날 밤을 가리키는 말을 의미한다고 합니다. 우리가 잘 알고 있는 보신각에서 "제야의 종" 타종을 치게 된 유래는 조선시대에는 통행금지의.. 2018. 12. 29.
효령대군 연보 효령대군 연보 ▲1396년(태조 5) : 송경(松京 : 개성) 정안군궁(靖安君宮)에서 태종대왕의 제2왕자로 태어남. ▲1400년(정종 2) 5세 : 입학함. ▲1407년(태종 7) 12세 : 효령군 작위를 받음, 해주정씨를 부인으로 맞음. ▲1408년(태종 8) 13세 : 연비어약(鳶飛魚躍) · 용반호거(龍盤虎踞) 등 4자 명구 24자를 씀. ▲1409년(태종 9) 14세 : 선소오매패(宣召烏梅牌 : 왕궁출입증표)를 하사받음. ▲1412년(태종 12) 17세 : 효령대군으로 진봉됨. 평강(平康) 강무(講武) 때 뛰어난 활 솜씨를 보임. ▲1414년(태종 14) 19세 : 휘 호(祜)를 보(補)로 고침. ▲1417년(태종 17) 22세 : 품계가 대광보국에, 부인은 숙의옹주에서 삼한국대부인에 각각 개봉됨... 2018. 12. 5.
이성계의 삶 이력 이성계는 함경도 영흥에서 출생하였으며 함경도 함흥에서 성장하였고 본관은 전주이다. 성(姓)은 이(李), 휘는 단(旦), 초명은 성계(成桂), 초자는 중결(仲潔), 자는 군진(君晉), 호는 송헌(松軒)·송헌거사(松軒居士)이다. 1388년부터 1392년까지 고려 왕조의 실권을 맡은 적이 있는 이성계는 고려에서의 관직이 문하시중 직위에 이르렀고, 고려 우왕 때, 우군도통사(右軍都統使)로서 요동 정벌을 위하여 북진을 하다가 위화도에서 회군하여 문하시중으로서 정권을 장악하고 고려 공양왕으로부터 보위 선양의 형식으로 개경(지금의 개성특급시) 수창궁에서 즉위함으로써 조선을 개국하였다. 원래 이름은 성계였으나 조선을 개국한 후에 '단'으로 개명하였다. 조선 군주 보위에 오른 이후 막강한 권력으로 전제개혁을 단행하.. 2018. 12. 4.
임진왜란5 수군의 활약 왜란 직전에 조선이 소유한 판옥선(板屋船: 戰艦) 수는 모두 250여 척으로 추측된다. 이때 경상·전라 양도의 수군 진용은 경상좌수사에 박홍, 경상우수사에 원균(元均), 전라좌수사에 이순신, 전라우수사에 이억기(李億祺)였다. 그러나 난이 발발하자 경상우수사 원균의 함대는 전멸하다시피 하였다. 또한 경상좌수사 박홍은 전세가 불리하자 전선과 전구(戰具)를 모두 침몰시켜 수군도 흩어지고 단지 4척의 전선만이 남게 되었다. 이런 실정이라 조선의 수군은 전라좌·우수사 휘하의 수군과 전선이 주축이 되었고 그 지휘는 이순신이 담당하게 되었다. 이순신의 제1차 출동에는 원균도 가세했으나 이순신 단독에 의한 것이나 다름없었다. 1592년 5월 4일에서 8일에 걸쳐 벌어진 이 해전에서 이순신 함대는 옥포(玉浦.. 2018. 11. 30.
임진왜란4 의병의 활동 의병이 일어나게 된 동기는, 한마디로 관군의 무능으로 인하여 국토가 일본군에 의하여 짓밟히고 많은 생령(生靈)이 죄없이 쓰러져가자, 동족을 구하고 스스로 향리를 수호하기 위함이었다. 이것은 타의에 의한 것이 아니었고 어디까지나 자의에서 나온 것이었다. 의병은 신분적으로 보면 양반에서 천민에 이르기까지 널리 퍼져 있어, 의병 활동을 벌이는 기간에는 계급이나 신분의 차이가 거의 없었던 것으로 보인다. 의병장은 대개가 전직 관원으로 문반 출신(文班出身)이 압도적으로 많고 무인들은 소수였다. 그리고 덕망이 있어 지방에서 추앙을 받는 유생들도 있었다. 의병을 일으키는 데 적합지로는 자기가 자란 고장이나 지방관으로 있을 당시 선정을 베풀어 그곳 지방민들이 잘 따를 수 있는 곳을 택하였다. 나아가 이를 .. 2018. 11. 30.
임진왜란3 전쟁의 발발 도요토미는 조선과의 교섭이 결렬되자 바로 원정군을 편성하여 조선을 침공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자신은 나고야[名護屋]에서 제군(諸軍)을 지휘할 계획을 세웠으며, 대군을 9번대(番隊)로 나누어 침략을 개시하였다. 이때 각 대를 지휘한 주장(主將)과 병력은 다음과 같다. 제1번대는 주장 고니시로 병력 1만 8700명이며, 제2번대는 주장 가토 기요마사[加藤淸正]로 병력 2만 2800명, 제3번대는 주장 구로다[黑田長政]로 병력 1만 1000명, 제4번대는 주장 모리[毛利吉成]·시마즈[島津義弘]로 병력 1만 4000명, 제5번대는 주장 후쿠시마[福島正則]로 병력 2만 5000명, 제6번대는 주장 고바야가와[小早川隆景]로 병력 1만 5000명, 제7번대는 주장 모리[毛利元之]로 병력 3만명, 제8번대.. 2018. 11. 30.
임진왜란2 그런데 곧 정여립(鄭汝立)의 모반 사건이 일어나자 모든 것이 이에 집중되어 사행을 선정하지 못하다가 11월 중순이 넘어서야 통신사 일행을 선정하였다. 즉 정사에 황윤길(黃允吉), 부사에 김성일(金誠一), 서장관에 허성(許筬)으로 결정되었다. 통신사 일행은 이듬해인 1590년 3월에 겐소 일행과 함께 서울을 출발하여 대마도에서 한달간 머무르다가 7월 22일에 경도(京都)에 도착하였다. 그러나 일행은 도요토미가 동북 지방을 경략중이어서 바로 만나지 못하고 11월에 가서야 접견하여 국서(國書)를 전하게 되었다. 통신사 일행이 돌아오려 하는데도 도요토미는 답서를 주지 않아 국서를 전한 지 4일 만에 경도를 떠나 사카이[堺] 포구(浦口)에 와서 답서 오기를 기다리다가 보름 만에 받았다. 그런데 내용이 오만불손하여.. 2018. 11. 30.
임진왜란1 정의 1592년(선조 25)부터 1598년까지 2차에 걸쳐서 우리나라에 침입한 일본과의 싸움. 개설 1차 침입이 임진년에 일어났으므로 ‘임진왜란’이라 부르며, 2차 침입이 정유년에 있었으므로 ‘정유재란’이라 한다. 하지만 임진왜란 하면 일반적으로 정유재란까지 포함시켜 말한다. 이 왜란을 일본에서는 ‘분로쿠[文祿]·케이초[慶長]의 역(役)’이라 하고, 중국에서는 ‘만력(萬曆)의 역(役)’으로 부른다. 배경 조선이 임진왜란을 당하여 전쟁 초기 이를 감당하기 어려울 정도로 국력이 쇠약해진 것은 왜란이 일어난 선조대에 이르러서 비롯된 것은 아니었다. 이미 훨씬 이전부터 중쇠(中衰)의 기운이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정치적으로는 연산군 이후 명종대에 이르는 4대 사화(四大士禍)와 훈구(勳舊)·사림(士林) 세력간에 계.. 2018. 11.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