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심장충격기(AED)란? 🤔
자동심장충격기(AED)는 심정지 환자에게 전기 충격을 주어 심장을 정상적인 리듬으로 되돌리는 기계입니다.
이 기계는 심실세동이나 무맥박 심정지와 같은 심장 문제를 겪고 있는 환자에게 사용됩니다.
AED는 사용이 간편하고, 일반인도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기계는 공공장소, 학교, 병원 등 다양한 장소에 비치되어 있어 응급 상황에서 신속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자동심장충격기의 필요성 💓
🛑 심폐소생술(CPR) 시행 절차 – 성인 기준
✅ 1. 반응 확인
반응의 확인현장의 안전을 확인한 뒤에 환자에게 다가가 어깨를 가볍게 두드리며,
큰 목소리로 "여보세요, 괜찮으세요?" 라고 물어본다.
의식이 있다면 환자는 대답을 하거나 움직이거나 또는 신음 소리를 내는 것과 같은 반응을 나타낸다.
반응이 없다면 심정지의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해야 한다.
119신고환자의 반응이 없다면 즉시 큰 소리로 주변 사람에게 119 신고를 요청한다.
주변에 아무도 없는 경우에는 직접 119에 신고한다.
만약 주위에 심장충격기(자동제세동기)가 비치되어 있다면 즉시 가져와 사용해야 한다.
✅ 2. 호흡 확인
호흡 확인쓰러진 환자의 얼굴과 가슴을 10초 이내로 관찰하여 호흡이 있는지를 확인한다.
환자의 호흡이 없거나 비정상적이라면 심정지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다.
일반인은 비정상적인 호흡 상태를 정확히 평가하기 어렵기 때문에 응급 의료 전화상담원의 도움을 받는 것이 바람직하다.
✅ 3. 가슴압박(흉부압박) – 핵심!
가슴압박 30회 시행환자를 바닥이 단단하고 평평한 곳에 등을 대고 눕힌 뒤에 가슴뼈(흉골)의 아래쪽 절반 부위에 깍지를 낀 두 손의 손바닥 뒤꿈치를 댄다.
손가락이 가슴에 닿지 않도록 주의하면서, 양팔을 쭉 편 상태로 체중을 실어서 환자의 몸과 수직이 되도록 가슴을 압박하고, 압박된 가슴은 완전히 이완되도록 한다.
가슴 압박은 성인에서 분당 100~120회의 속도와 약 5cm 깊이(소아 4~5 cm)로 강하고 빠르게 시행한다.
'하나', '둘', '셋', ..., '서른'하고 세어가면서 규칙적으로 시행하며, 압박된 가슴은 완전히 이완되도록 한다.
- 환자를 평평한 바닥에 눕힌 후, 양 손을 포개어 가슴 중앙(흉골 부위)에 위치시킵니다.
- 팔꿈치를 곧게 펴고 어깨 바로 아래에서 수직으로 압박하세요.
- 압박 깊이: 약 5~6cm
- 속도: 분당 100~120회
- 압박과 이완의 비율을 같게, 이완도 충분히 해야 함.
✅ 4. 인공호흡(선택적)
인공호흡 2회 시행 환자의 머리를 젖히고, 턱을 들어 올려 환자의 기도를 개방시킨다. 머리를 젖혔던 손의 엄지와 검지로 환자의 코를 잡아서 막고, 입을 크게 벌려 환자의 입을 완전히 막은 후 가슴이 올라올 정도로 1초에 걸쳐서 숨을 불어넣는다. 숨을 불어넣을 때에는 환자의 가슴이 부풀어 오르는지 눈으로 확인한다.
숨을 불어넣은 후에는 입을 떼고 코도 놓아주어서 공기가 배출되도록 한다.
인공호흡 방법을 모르거나, 꺼려지는 경우에는 인공호흡을 제외하고 지속적으로 가슴압박만을 시행한다.
(가슴압박 소생술)
- 가능하다면 30회의 가슴압박 후 인공호흡 2회
- 인공호흡은 기도를 확보한 후, 입을 완전히 덮고 1초간 부드럽게 숨을 불어넣습니다. (가슴이 올라가는지 확인)
**※ 일반인이라면 인공호흡 없이 "가슴압박만 CPR"**을 해도 효과가 있으며, 이것이 권장되기도 합니다.
✅ 5. AED 사용
- AED가 도착하면 전원을 켜고 안내 음성에 따라 패드를 붙이고, 심장리듬 분석 및 제세동(충격)을 실시합니다.
- 제세동이 끝난 후, 즉시 가슴압박을 재개합니다.
자동심장충격기 사용법 🛠️
- 전원 켜기 : AED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전원 버튼을 눌러 전원을 켭니다. 기계가 작동하면 음성 안내가 시작됩니다.
- 패드 부착 : 환자의 가슴을 드러내고, 패드를 부착합니다. 패드는 일반적으로 두 개로 구성되어 있으며, 하나는 오른쪽 쇄골 아래에, 다른 하나는 왼쪽 갈비뼈 아래에 부착합니다.
- 심장 리듬 분석 : 패드를 부착한 후, AED는 자동으로 심장 리듬을 분석합니다. 이 과정에서 환자와의 접촉을 피해야 합니다.
- 충격 전달 : 만약 AED가 심장 충격이 필요하다고 판단하면, 음성 안내에 따라 충격 버튼을 눌러야 합니다. 이때, 주변 사람들은 환자와의 접촉을 피해야 합니다.
- 심폐소생술 시행 : 충격 후에도 환자가 반응하지 않으면, 즉시 심폐소생술(CPR)을 시행해야 합니다. AED는 주기적으로 심장 리듬을 분석하며, 필요 시 추가 충격을 안내합니다.
사용해야 하는 대상자 👥
AED는 반응이 없고 정상적인 호흡이 없는 심정지 환자에게만 사용해야 합니다.
즉, 환자가 의식이 없고, 호흡이 없거나 비정상적인 경우에만 AED를 사용해야 하며,
이러한 경우에는 즉시 119에 신고하고 AED를 준비해야 합니다.
또한, 심정지 환자에게는 심폐소생술을 병행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2025년 기준의 자동심장충격기 현황 📅
2025년에는 자동심장충격기의 보급이 더욱 확대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공공장소와 학교, 기업 등 다양한 장소에 AED가 비치되어 있으며, 이를 통해 심정지 환자의 생존율을 높이는 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또한, AED 사용 교육이 활성화되어 일반인도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변화는 심정지 환자의 생명을 구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마무리 및 참고 자료 📚
자동심장충격기는 심정지 환자에게 생명을 구하는 중요한 도구입니다.
사용법을 숙지하고, 주변에 AED가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응급 상황에서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항상 준비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더 자세한 정보는 E-GEN와 대한심폐소생협회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이런 자료를 참고 했어요.
[1] E-GEN - 자동심장충격기(AED) 사용법 (https://www.e-gen.or.kr/egen/aed_usage.do)
자동심장충격기(AED) 사용법 | E-GEN통합홈페이지
자동심장충격기(AED) 사용법 자동심장충격기 설명 및 사용방법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 실 수 있습니다. 자동심장충격기(AED) 란? 자동심장충격기(AED)란 심실세동(심장의 박동에 의해서 심실의 각
www.e-gen.or.kr
[2] 대한심폐소생협회 - 자동심장충격기(자동제세동기, AED) 사용방법 (https://www.kacpr.org/page/page.php?category_idx=3&category1_code=1247206302&category2_code=1527742406&page_idx=1119)
대한심폐소생협회
나 하나로 또 하나의 생명을
www.kacpr.org
[3] 영등포구청 - 자동심장충격기 사용법 - 영등포구 보건소 (https://www.ydp.go.kr/health/contents.do?key=3691)
자동심장충격기 사용법 - 영등포구 보건소
www.ydp.go.kr